어제 차민이가 좋아하는 인형인 호비인형을 가지고 차민이에게 약속을 하나 하게 했다.
차민이는 잘때 덮는 얇은 이불을 손에 쥐거나 졸리면 손을 빠는 버릇이 있는데 이것을 고치기 위해
호비에게 이제는 손을 빨지 않게다는 약속을 하게 한것이다.
사실 이제 24개월(다음주면 만 24개월이다) 되는 아이가 아직 약속의 의미를 알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았지만 그래도 무언가 의미를 부여해 두어야 할것 같아서 시킨것이었다.
그런데 결과는 놀라웠다. 손빠는 버릇이 고쳐져서가 아니라 약속의 의미를 알고 있다는것에 대해서 놀라웠다는것이다. 오늘도 어김없이 졸려오니 손을 빨기 시작했는데 그때 내가 '차민 어제 호비랑 약속한것 있지 않니?' 라고 물어보니 슬그머니 손을 입에서 빼내였다. 그리고 그때부터 괴로워 하는것이 아닌가? 손을 빨고는 싶은데 호비랑 약속을 해서 손을 빨지는 못하겠고. 잠이 점점 더 오니 손을 빨고 싶어서 마구 투정을 부린다. 그래서 오늘만 손빨고 내일부터는 약속을 지켜야해 하니 바로 '네~'하고 손가락을 입에 넣는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다. 어른들은 약속을 어기기를 밥먹듯하는데 이제 24개월짜리 아이는 때기 어려운 버릇임에도 불구하고 약속을 했다는 이유 하나로 지키려고 노력한다.(물론 아직 아기라 본능이 이성을 이겨버렸지만 ^^;) 이제 차민이가 약속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는것을 알았으니 앞으로 차민이에게 말할때는 좀더 생각을 하고 거짓되지 않은 말들을 해야겠다.

'나의 딸에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른 사람이 좋아하는것에도 관심을 기울여라  (0) 2010.04.09
3월 22일 차민이의 두번째 생일  (0) 2010.03.22
2010년 3월 10일  (0) 2010.03.11
2010년 2월 24일  (0) 2010.02.24
2010년 2월 22일  (0) 2010.02.24








오늘은 이틀간 차민이를 제대로 못봐서 일도 미뤄두고 일찍 퇴근을 해서 집에 왔다
이틀 못봤다고 차민이의 말이 얼마나 늘었는지 정말 아이들은 돌아서면서 큰다는 말이 사실인듯하다
재우려고 작은방에 데려가는데 차민 엄마가 차민이에게 이리 저리 옷들을 입혀본다
장모님과 차민엄마는 차민이에게 새옷입히는것이 큰 즐거움인듯
오늘도 두 여자분은 매우 유쾌하게 웃으며 만족해하고 있다
뭐 나도 예쁜옷 입은 차민이가 더 이뻐보여 좋긴하다 ㅋㅋ
몇일있으면 차민이 생일인데 이쁜 자전거를 하나 사주어야 겠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나의 딸에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22일 차민이의 두번째 생일  (0) 2010.03.22
3월 14일 - 차민 약속의 의미를 알다.  (0) 2010.03.14
2010년 2월 24일  (0) 2010.02.24
2010년 2월 22일  (0) 2010.02.24
2010-02-19  (0) 2010.02.19

언제 어떤분이 쓴 글에서 트윗은 이렇다 저렇다 이런게 올바른 트윗이다 아니다란
글을 읽고 조금은 맘이 상하기도 하고 조금은 화가 나가기도 해서 글을 한번 적어봅니다.

트윗은? 우리말로는 지저귐이라던데. 저는 이 말에 아주아주 동감을 하는 사람입니다.
트윗 즉 지저귐은 곧 말이고 트윗을 한다는것은 입으로 말을 한다는 것이 아니라 트윗을 통하여 말을 한다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아마 그래서일까요? 트윗에는 삭제기능이 없는걸로 저는 압니다.(혹 있나요 아직은 초보라 제가 못봤을수도) 꼭 우리의 말처럼 말입니다. 우리가 말을 하면 그 말은 다시 담을수도 취소할 수도 없는것처럼 말이지요
그리고 말이란 사람들을 통하여 입과 입으로 전달이 되게 되는것 처럼 트윗은 트위터를 통하여 트윗과 트윗(정확히는 리트윗, 요즘은 인용이라고 기능을 제공하더군요)을 통하여 전달이 되게 됩니다. 말이 사람과 사람을 통하여 전달이 되면서 때론 그대로 전달이 되기도 하고 때론 변질이 되기도 하는것처럼 트윗도 사람들에게 전달되면서 때론 그대로 트윗되기도 하고 때론 조금 변질되어 전달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내가 말한것을 가지고 누가 다른 사람에게 전달했다고 그 말은 내말이니 전달하면 안되 돈내 라고 하시는 분은 없을것 같습니다. 물론 내가 한 말이기에 내가 말한 뜻과는 다르게 전달되면 항의를 할 수도 있도 그 의미를 다잡으려 노력할 수 도 있는것처럼 트윗도 그러합니다만. 자기 의견을 앞에 달아 전달했다고 뒤에 달아 전달했다고 따지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트윗에서 인용을 할때는 모든 것을 수정 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그것을 다시 트윗을 날리는 경우에는 그 글에 대한 것은 그 사람 마음이라는 것이지요. 물론 도덕적책임이 있기에
자기 맘대로 다른 사람이 오해하도록 하는 행위를 하면 안되겠지만. 그 기본 행동 자체를 가지고 이렇게 하는것은 옳고 이렇게 하는것은 옳지 않다라고 말할 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다시 말한 말하지만 전 트위은 지저귐이고 트윗을 통한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남에게 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의 말이라면 그가 어떤 방법으로 어떤말을 하건 너무 따지지도 고치려하지도 말아주세요.
그냥 듣기 싫으면 언팔하시면 그만이니까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