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들어 처음으로 읽은 책.. 하지만..
노안 때문인지.. 책의 배경처럼 깔리는 흐릇한 글들은 잘 눈에 들어오지 않았고, 내용도 나에게 그다지 와 닿지 않았다.
그래도 올해의 첫 책이기에 다 읽어보려 노력하던중 마음에 드는 글귀가 하나 보였다.
"나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나에게 어떻게 해 주었을까?" 라는..
나 스스로를 어떻게 하면 잘 해줄수 있을까에 대한 답이 되는 말이었던것 같다.
그러나 그 글귀가 보이고 얼마 지나지 않아 보인 글귀에 결국 난 책을 덮을 수 밖에 없었다.
최근 설이 있어서인지 인터넷 기사나 글들을 보면 시댁에 가서 명절 음식 차리기를 거부한 여권운동자들이나 패미니스들에 글들이 있었는데, 이 책에도 그런 글이 있었다.
내가 고지식해서인건지 왜 여권신장이 명절 음식 차리기 거부하기와 결부되는 건지 모르겠다.
왜 명절에 가서 음식 차리기는 거부하면서 시어머니가 내 아이를 돌봐주기를 바라는 건지, 명절에 시댁에 가는 것은 거부하면서 처가에는 데려가려는건지 이해할수가 없다.
몇 해전에 명절의 기사들에는 시어머니의 반란이란 타이틀로 며느리들과 명절 음식 만들기를 거부하고 남자들에게 맡기거나 여행을 다녀오는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고 그것은 이해할수 있었다. 명절에 꼭 여자가 음식을 만들어야 하는것도 아니고 반드시 차례를 지내야만 하는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즉 낡은 관습중에 고쳐서 바꾸어가는 모습이 아닐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의 글들은 여권, 페미 란 단어뒤에 그냥 나만 편하고 싶어라는 이기주이만 보이는 것 같아 난 그들의 행동에 동의 할 수 없었다.
우리집도 예전에는 여자들만 음식을 만들었었다. 그러던 어느 명절날 어머니께서 남자들도 함께 음식을 만들자고 하셨고, 아들들뿐 아니라 아버지께서도 함께 음식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렇게 함께 만들게 되니 시간도 줄고 여자들의 불만도 함께 줄었다. 그렇게 함께만들어도 시간이 5시간은 걸리고 오랜시간 음식을 만드는것은 쉬운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차츰 음식의 양을 줄여갔고 이제는 설에 만두까지 다 만들어도 두세시간이면 충분히 모든 일이 끝날 수 있었다. 그렇게 길지 않은 시간 가족모두가 함께하니 그간 이야기들을 나누면서 큰 스트레스 없이 명절을 보낼수 있게 된듯하다.우리의 명절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이들에게는 할 말이 없지만. 낡은 관습들을 보완해가며 더 나은길로 가는것이 더 나은것이 아닌가 싶다.
잡설이 길었지만.. 올해의 첫책은 결국 다 읽지 못했다. 이제 나도 기성세대가 되어 젊은 세대를 이해하지 못해서일지도 모르겠지만,
'이런저런것들 >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는 설치 품목마다 출동비를 받네요. (0) | 2020.04.23 |
---|---|
팬츠드렁크 (0) | 2019.05.10 |
아이와 처음으로 끝까지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낸 첫 만화 '가디언즈' (1) | 2012.12.16 |
하루 10분, 내 아이를 생각하다. (0) | 2012.02.27 |
ETCO를 이용해서 블로그를 올려봅니다. (0) | 201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