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부터 문화센터의 가을 학기가 시작되었다.

아이에 대한 나 나름대로의 커리큐럼에 발레가 있었기에 작년부터 아이에게 발레를 가르치고 있었는데

이번 학기부터 조금의 변화가 생겼다.

그건 바로.. 유치원 친구들의 참여다.

지금까지는 아는 친구들 없이 문화센터에서 알게된 친구들과 함께 발레를 해왔는데.

이번 달부터는 유치원에서 친한 친구들이 그것도 자그만치 3명에 이전에 같이 발레를했던 문화센터 친구까지

총 4명이 발레를 새로 시작하였다. 

발레 선생님도 봄학기부터 새로 시작하신 분이라 이제 슬슬 조금씩 자리를 잡아가고 계시는 분이신데,

아이를 따라 4명이나 추가로 신청을 하다보니 이번 학기는 완전히 만석이 된것 같았고 덕분에 선생님으로부터 

아이 머리띠도 받았다. 일부러 우리가 데려온것도 아니고 데려온다고 뭐 선물 주는 곳도 아니라 말을 안했는데

분위기로 대충 아이가 이번 학기에 키맨이 된것을 아신것같다. 이번에 이런 일이 있고보니 무슨일을 하든 이렇게

키맨이 되는 사람들은 참 필요하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키맨이란게 일부러 만든다고 되는것도 아니고

그렇게 만든 키맨은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오히려 피해만 키치는 경우가 더 많다.) 키맨으로 

인해 나의 역량을 펼칠 기회가 생기는 것이고 키맨으로 인해 생긴 기회를 잘 잡는 것이 그 사람의 능력이 아닌가 싶다.

이번 싸이의 '강남스타일'열풍도 그러한 것이 아닐까? 유튜브라는 키맨덕분에 전세계에 알려졌고 

거대 시장인 미국에서 그의 능력을 펼칠 기회를 얻었다. 그리고 지금 그는 그 기회를 잘 살리고 있는것 같다.

일을 성공시키는데 키맨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일이 성공하는 길에 키맨이란 큰 도움을 주는 존재이고

그것을 잘 살리는것이 성공의 지름길인듯 하다.

+ Recent posts